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Tip

조카와 그 배우자, 뭐라고 불러야 할까? 헷갈리는 가족 호칭 정리 (조카와 배우자, 결혼한 조카, 조카의 아내, 조카의 남편 호칭과 지칭)

by New Youth Kang 2025. 6. 28.
728x90

요즘 조카들도 하나둘씩 커서 사회생활도 하고 결혼도 하더라고요. 그런데 말이에요… 막상 그 조카들이 결혼을 하면, “내가 저 사람을 뭐라고 불러야 하지?” 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셨죠?

 

친조카는 이름 부르면 되는데, 결혼한 조카나 조카의 배우자에게까지는 이름 부르기도 좀 애매하고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남자 조카, 여자 조카, 그리고 그들의 배우자에 대한 정확한 호칭과 지칭 표현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봤습니다.

 

 

✅ 결혼한 조카와 조카의 배우자 뭐라고 불러야 할까?

 

조카라는 말, 우리에게 참 익숙하죠. 형제나 자매의 자녀를 통틀어서 조카라고 부르는데, 남자든 여자든 상관없이 쓰는 말이에요. 보통 어릴 땐 이름을 부르거나 "우리 조카~" 이렇게 말하곤 하지만, 조카가 크고 결혼을 하게 되면 그 배우자까지 부르게 되는 상황이 생기죠. 그때부터 "이 사람은 뭐라고 불러야 하지?" 하고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남자 조카의 아내는 보통 새아가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여자 조카의 남편은 흔히 "○○ 서방"처럼 부르죠. 물론 요즘은 이름에 "씨"를 붙여서 부르는 경우도 많아요.

 

조금 더 옛날 표현이나 한자식 표현도 있는데요. 남자 형제의 아들, 그러니까 조카를 '질'이라고 부르고, 그의 아내는 '질부'라고 했어요. 여자 조카는 '질녀', 그리고 그 남편은 '질서'라고 합니다. 만약 남자가 여자 형제의 자녀를 말할 땐 표현이 또 달라져요. 남자 조카는 '생질', 그 아내는 '생질부', 여자 조카는 '생질녀', 남편은 '생질서'라고 하죠.

 

여자의 경우, 여자 형제의 자녀를 '이질'이라고 합니다. 이질의 아내는 '이질부', 이질녀의 남편은 '이질서'라고 불러요. 이렇게 누가 누구의 형제인지, 성별이 무엇인지에 따라 호칭이 참 다양하게 바뀌는 거죠.

 

요즘은 사람들이 많이 쓰는 말로 조카며느리, 조카사위라는 표현도 있어요. 이건 관습적으로 큰 문제는 없지만, 엄밀히 말하면 조카의 자녀가 결혼했을 때 부르는 말로도 들릴 수 있어서 헷갈릴 수 있다는 점은 기억해 두면 좋아요.

형제자매의 자녀 종합

728x90

 

남자 조카와 그 배우자의 호칭, 어떻게 부르면 좋을까?

 

남자 조카가 어릴 땐 그냥 이름을 부르는 게 자연스러워요. 하지만 결혼을 하고 나면 상황이 조금 달라지죠. 그럴 땐 조카라는 말 그대로 부르기도 하고, 조카의 자녀 이름을 따서 "○○ 아범", 또는 "○○ 아비"라고 부르기도 해요. 

 

조카의 위치나 관계에 따라 부르는 말도 조금 달라지는데요. 예를 들어, 누나나 여동생의 아들은 ‘생질’이라고 하고, 아내의 자매의 아들, 그러니까 처형이나 처제의 아들은 ‘이질’이라고도 해요. 또는 아내 쪽 조카라면 그냥 ‘처조카’라고 부르기도 하고요. 사실 일상에선 이렇게까지 구분해서 쓰는 일은 드물지만, 가족 모임이나 어른들 앞에서는 알고 있으면 괜찮은 예의가 될 수 있어요.

남자조카호칭지칭

 


보통 집안에서는 남자조카의 아내를 "아가" 또는 조금 더 다정하게 "새아가"라고 부르곤 해요. 조카 부부에게 아이가 생기면, 아이 이름을 따서 "○○ 어멈", 또는*"○○ 어미"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좀 더 옛날 방식이나 한자식 표현으로는 남자 조카의 아내를 "생질부" 또는 "이질부"라고 부르기도 해요. 실생활에선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알고 있으면 참고가 됩니다.

 

지칭할 때도 호칭과 크게 다르지 않아요. 그냥 새아가, ○○ 어멈 이렇게 부르듯이 말해도 무난하고, 아내 쪽 조카의 경우에는 앞에 "처"자를 붙여서 "처질부", "처이질부"처럼 부르기도 해요.

조카아내호칭지칭

 

 

여자 조카와 그 남편, 어떻게 부르면 좋을까?

 

여자 조카 호칭의 경우 어릴 때에는 이름을 부르고 결혼을 하면 조카 또는 조카님이에요. 조카가 아이를 낳았다면, 그 자녀 이름을 따서 "○○ 어멈"이나 "○○ 어미"처럼 부르기도 해요.

 

여자 조카를 지칭할 땐 호칭과 마찬가지로 조카 또는 조카님이라고 부르면 되고요, 조금 더 옛 표현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질녀, 생질녀, 이질녀 같은 말도 사용됩니다. 아내 쪽 조카인 경우에는 처가 쪽임을 구분하기 위해 처조카, 처생질녀, 처이질녀처럼 ‘처’자를 앞에 붙여 말하기도 해요. 그리고 일상에서 흔히 "조카딸"이라고도 표현하는데, 이건 자칫 조카의 딸로 오해될 수 있어서 공식적인 자리나 문서에서는 조금 더 조심해서 사용하는 게 좋아요.

여자조카호칭지칭

 

여자 조카가 결혼하면, 그 남편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애매할 때가 있어요. 이럴 때는 보통 장인이나 장모가 사위를 부르듯이 "○○ 서방"이라고 부르거나, 아이가 있으면 "○○ 아범", "○○ 아비"처럼 부르기도 해요. 지칭할 때도 크게 다르지 않아서, 부를 때 쓰는 호칭을 그대로 써도 됩니다. 

 

조금 더 격식 있게 말하거나 옛 표현을 쓰고 싶을 땐 질서, 생질서, 이질서 같은 표현도 있어요. 이건 여자 조카의 남편을 가리키는 전통적인 한자식 표현이에요. 아내 쪽 조카라면 앞에 ‘처’를 붙여서 처질서, 처이질서처럼 구분해서 부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아내의 언니나 여동생 딸의 남편이라면 그렇게 표현할 수 있어요.

조카남편호칭지칭

 

자녀 배우자의 부모님/가족 호칭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2025.06.21 - [일상생활 Tip] - 사돈? 사돈어른? 사부인? "자녀 배우자의 부모님/가족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자녀 배우자의 어머니 아버지, 자녀 배우자의 삼촌, 사돈호칭)

 

사돈? 사돈어른? 사부인? "자녀 배우자의 부모님/가족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자녀 배우자의

자녀가 결혼하면, 부모 입장에서 상대편 집안 식구들을 뭐라고 불러야 할지 고민되시죠? 오늘은 사돈집안에 대한 호칭, 지칭에 대해서 확실히 알려드릴게요! ✅ 자녀 배우자의 부모님에 대한 호

newyouthkang.tistory.com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2025.06.16 - [일상생활 Tip] - 형수? 제수씨? 새언니?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형의 아내, 누나의 남편, 오빠의 아내, 언니의 남편, 남동생의 아내, 여동생의 신랑)

 

형수? 제수씨? 새언니?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형의 아내, 누나의 남편,

형제자매가 결혼을 하면, 그 배우자도 이제 우리 가족이잖아요. 가족이란 게 서로 잘 어울리고 조화롭게 지내는 게 제일 중요한데, 그 시작은 서로를 부르는 ‘호칭’부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newyouthkang.tistory.com

 

부모님의 형제자매 호칭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2025.06.20 - [분류 전체보기] - 큰아버지? 외삼촌? "아버지나 어머니의 형제자매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아버지의 형과 누나, 어머니의 오빠와 언니, 남동생과 여동생 호칭, 가족호칭)

 

큰아버지? 외삼촌? "아버지나 어머니의 형제자매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아버지의 형과 누

명절이나 경조사 때 오랜만에 보는 친척 분들, 특히 아버지나 어머니의 형제자매분들 뵙게 되면... "어? 뭐라고 불러야 하지?" 하고 순간 당황한 적 한 번쯤 있으시죠? 평소엔 잘 만나지 않다 보니

newyouthkang.tistory.com

 



지금까지 평소엔 쉽게 넘기기 쉬운 형제자매의 자녀, 즉 조카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을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막상 부를 일이 생기면 헷갈릴 수 있는 표현들이니 이번 기회에 가볍게라도 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