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일상생활 Tip28

실업급여 3차 실업인정 신청, 고용24로 간단하게 끝내는 법! ( 실업급여3차인정요건, 재취업활동인정기준, 실업급여신청방법 실업급여 받으시는 분들, 3차 실업인정일 어떻게 준비하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3차 실업인정일에 재취업활동을 어떻게 인증하면 되는지, 그리고 실업급여 신청과 관련된 실무적인 내용들을 정리해봤어요.헷갈리는 부분 없이 한 번에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3차 실업인정일 재취업활동 기준, 어떻게 해야 할까요? 3차 실업인정일에는 재취업활동을 한 번만 하면 인정돼요. 이 재취업활동은 구직활동이든, 구직 외 활동이든 둘 중 하나만 하면 되는데요, 반복수급자인 경우에는 꼭 구직활동만 인정된다는 점! 이 부분은 꼭 기억하셔야 해요. 그럼 구직활동과 구직 외 활동의 차이는 뭐냐면요, 구직활동은 입사지원, 면접 응시처럼 실제 취업을 위한 활동이고, 구직 외 활동은 취업특강 듣기나 직업훈련 참.. 2025. 6. 22.
사돈? 사돈어른? 사부인? "자녀 배우자의 부모님/가족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자녀 배우자의 어머니 아버지, 자녀 배우자의 삼촌, 사돈호칭) 자녀가 결혼하면, 부모 입장에서 상대편 집안 식구들을 뭐라고 불러야 할지 고민되시죠? 오늘은 사돈집안에 대한 호칭, 지칭에 대해서 확실히 알려드릴게요! ✅ 자녀 배우자의 부모님에 대한 호칭 먼저, ‘사돈’이란 건, 자녀의 결혼을 통해 맺어지는 두 집안 사이에서, 결혼한 당사자를 빼고 서로의 가족을 부르는 말이에요. 예를 들어 양가 부모끼리는 ‘친사돈’이라고 부르고요. 그 친사돈의 부모님이나 자녀, 형제자매, 또 그 형제자매와 연결된 사돈까지는 ‘곁사돈’이라고 부른답니다. 자녀가 결혼하면, 사돈끼리 서로를 뭐라고 불러야 할지 헷갈릴 수 있어요. 먼저 내가 아버지 입장이라면, 기본적으로는 ‘사돈어른’, 또는 상대가 어머니일 경우 ‘사돈’이나 ‘사부인’이라고 부릅니다. 상대가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예의를 갖.. 2025. 6. 22.
신혼부부 전세대출 완전정리! 서울시 vs 주택도시기금 vs 일반은행 비교(서울시 신혼부부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주택도시기금 신혼부부전세자금대출) 🏠 전세대출, 뭐부터 비교해야 할까? 결혼 앞두고 전세집 알아보다 보면 헷갈리는 게 한두 가지가 아니에요. 특히 전세대출은 종류가 너무 많고, 조건도 다 달라서 처음엔 진짜 복잡하게 느껴지죠. 그래서 오늘은 전세대출 중에서도 아래의 두 가지 대출에 대해서 확실하게 비교해드릴게요! 👉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서울시) 👉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주택도시기금) ✅ 간단 비교표부터 먼저 보기!먼저,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과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일반은행 전세대출에 비해 금리가 싸다는 장점이 있어요! 신혼부부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는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에 비해 자산기준이 없는 점, 전세금 기준이 높다는 점이 장점이에요! 하지만, 서울 거주 또는 .. 2025. 6. 21.
조문 예절, 문상 갈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매너 총정리 (조의금 봉투 작성법, 문상절차, 주의사항, 조의문자 보내기) 누군가의 부고 소식을 듣거나 장례식장을 찾게 될 때, 유족 분들은 큰 슬픔을 겪고 계시기 때문에 우리가 전하는 위로가 더없이 중요해요. 그래서 문상을 갈 때 꼭 알아두면 좋은 조문 예절, 문상 예절에 대해 정리해봤어요. 작은 행동 하나에도 마음을 담는 게 중요하니까요. ✅ 조문·문상 관련 용어 정리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의 부고 소식을 듣고 장례식장을 찾을 때, 고인께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하는 걸 흔히 ‘문상 간다’고 하죠. 사실 표현은 여러 가지예요.‘조상’은 고인께 예를 표하는 걸 말하고,‘조문’은 상주에게 인사를 건네는 걸 뜻해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 둘을 구분하지 않고 그냥 ‘문상’이라는 말을 가장 많이 써요. 그리고 고인이 부모님이 아닌 형제, 배우자, 자녀일 경우엔 '문상'보다는 ‘조.. 2025. 6. 21.
형수? 제수씨? 새언니?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형의 아내, 누나의 남편, 오빠의 아내, 언니의 남편, 남동생의 아내, 여동생의 신랑) 형제자매가 결혼을 하면, 그 배우자도 이제 우리 가족이잖아요. 가족이란 게 서로 잘 어울리고 조화롭게 지내는 게 제일 중요한데, 그 시작은 서로를 부르는 ‘호칭’부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형제자매의 배우자를 어떻게 불러야 할지 정리해봤어요! 궁금했던 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 ✅ 남자 입장에서 형제자매 배우자의 호칭 ✔️ 형의 아내 형의 아내는 보통 ‘형수’라고 불러요. 좀 더 격식을 차릴 땐 ‘아주머님’이나 ‘아주머니’라고 부르기도 하고요. 말할 때나 부를 때나 ‘형수’라고 해도 괜찮고, 형수님의 자녀들 입장에서는 ‘큰어머니’나 ‘큰어머님’이라고 지칭하면 돼요! ✔️ 남동생의 아내 남동생의 아내는 보통 ‘제수씨’라고 불러요. 조금 더 격식 있게 부르고 싶다면 ‘계수씨’라고도.. 2025. 6. 16.
결혼식 끝났다면? 혼주가 전하는 감사 인사말 모음 혼주님을 위한 결혼 감사 인사말 모음, 여기 다 모았어요!결혼식을 잘 마쳤다고 끝이 아니죠. 하객분들께 따로 감사 인사를 드리는 것도 정말 중요하고, 큰일 중 하나예요. "어떻게 인사드려야 할까?" 고민되신다면,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봤어요 ! 신랑신부님을 위한 결혼 감사인사말도 확인해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2025.06.15 - [일상생활 Tip] - 신랑신부님을 위한 결혼 감사 인사말 모음, 여기 다 모았어요! 신랑신부님을 위한 결혼 감사 인사말 모음, 여기 다 모았어요!신랑신부님을 위한 결혼 감사 인사말 모음, 여기 다 모았어요!결혼식을 잘 마쳤다고 끝이 아니죠. 하객분들께 따로 감사 인사를 드리는 것도 정말 중요하고, 큰일 중 하나예요. "어떻게 인사드려newyouthk.. 2025. 6.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