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득과 세금

2026최저임금 10,320원으로 인상됐다고?, 주휴포함 실수령액은? (2025·2026최저시급, 2026 최저시급·월급·연봉 주휴수당포함 총정리, )

by New Youth Kang 2025. 7. 11.
728x90

2026년 최저임금이 드디어 확정됐습니다. 매년 이맘때쯤이면 많은 분들이 “과연 얼마나 오를까?” 궁금해하시죠. 특히 자영업자, 중소기업 종사자, 알바생, 계약직 근로자 등 최저임금의 영향을 직접 받는 분들에게는 민감하고 중요한 이슈입니다.

 

이번 2026년 최저임금은 물가상승률, 경기 상황, 고용시장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되었는데요. 오늘은 2026년 최저임금의 구체적인 금액, 인상률, 월 환산액은 물론이고, 지난해와 비교한 변화와 실무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최근 5년간 최저임금 흐름
 

최저임금은 해마다 조금씩 오르고 있어요. 최근 5년만 봐도 2021년에 8,720원이던 게 2026년에는 10,320원까지 올라서, 전체적으로 약 18.3% 정도 인상됐어요. 아래 표랑 그래프를 보면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랑 인상률을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어요.

 

최근 5년간 최저임금 추이

연도 최저임금(원) 인상률(%)
2021 8,720  
2022 9,160 5
2023 9,620 5
2024 9,860 2.5
2025 10,030 1.7
2026 10,320 2.9

 

최저임금인상률추이
최저임금위원회 제공

 

 

✅ 2026년 최저임금 "10,320원", 월급이랑 연봉은?

 

시급 10,320원이 적용되면 

  • 월급 기준(주휴수당포함 2) 약 2,156,880원이고, 기존보다 60,610원이 오르게 돼요. 
  • 연봉 기준 약 2,588만 원이고, 약 72만원 인상돼요.

 

2026년 최저임금기준 급여,연봉 비교(주휴수당 포함)

최저임금비교표

728x90

 

 

✅ 2026년 최저임금 더 자세히 보기 (주휴수당 포함 계산 Version)

 

 

2026년 최저임금은 10,320원이에요. 전년도보다 290원이 올라서 인상률은 2.9%에요. 그리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주휴수당 포함 시급 12,384원이에요. 작년보다 348 오른 건데요, 보통 아르바이트 시급은 이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제로 시급을 받을 때는 12,384원이 기준이 돼요.

 

2026년 최저임금기준 급여,연봉 비교(주휴수당 포함)

기본시급 주휴수당 주휴포괄시급
10,320원 2,064원 12,384원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보통 주휴수당 계산이 번거로워서, 아예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을 기준으로 급여를 계산하는 경우가 많아요. 2025년 기준 주휴수당 포함 최저시급은 12,384원이에요. 그래서 일급을 계산할 때는 근무시간 × 12,384원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 하루 8시간 근무하면 8시간 × 12,384원 = 82,560원이 되고요, 
  • 주 5일 근무할 경우 5일 × 82,560원 = 412,800원이 주급이 되는 거예요. 

 

한편, 프리랜서나 4대 보험 가입을 피하는 단기 알바는 3.3% 사업소득세를 원천징수해서 급여를 지급하는데요, 이 경우 실제 적용되는 시급은 12,384원에서 세금 3.3%를 뺀 11,976원이에요. 그래서 주휴 포함 프리랜서 일급은 근무시간 × 11,976원으로 계산하면 돼요. 예를 들어 하루 8시간 일했다면 8시간 × 11,976원 = 95,808원이 되는 거죠.

 

2026년 최저시급 총정리 

최저시급총정리

 

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보면, 월급여는 2,156,880원, 연봉은 25,882,560원이에요. 작년보다 월급은 60,610원, 연봉은 727,320원 오른 거고, 인상률은 2.9%입니다.


 
이 월급은 어떻게 계산되냐면, 최저시급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여기서 209시간은 한 달 기준 근로시간이에요. 주 40시간 근무 + 주휴수당까지 포함해서 월 기준으로 계산된 시간이죠. 이걸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이 정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통상임금을 계산하는 기준인 "209시간"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2025.07.03 - [직장생활] - 통상임금 산정기준 '209시간' 완전정리 (월 209시간 = 48시간(소정근로시간 40시간+ 주휴일 8시간) * 월 4.345주, 소정근로시간·주휴수당 개념 포함 )

 

통상임금 산정기준 '209시간' 완전정리 (월 209시간 = 48시간(소정근로시간 40시간+ 주휴일 8시간) *

요즘 2026년 최저임금 협상이 한창이죠.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인상은 거의 기정사실처럼 보이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럼 통상임금은 얼마나 오를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죠. 이

newyouthkang.tistory.com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에 대해서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 

2025.06.25 - [직장생활] - 5인 미만 사업장, 어떤 근로기준법이 적용될까? 핵심 정리! (5인 미만 사업장의 최저임금, 주휴수당, 퇴직급여제도, 법정공휴일, 주 52시간, 연장근로·야간근로·휴일근로 가산수당, 연차휴가 및 수당)

 

5인 미만 사업장, 어떤 근로기준법이 적용될까? 핵심 정리! (5인 미만 사업장의 최저임금, 주휴수

현행 근로기준법에서는 이런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사업주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근로시간이나 연차휴가 같은 주요 규정을 아예 적용하지 않고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사장님도, 직원도 꼭

newyouthkang.tistory.com

 

일용직과 프리랜서의 세금에 대해서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 

2025.05.27 - [일상생활 Tip] - 나는 왜 3.3% 세금 떼였을까? 일용직과 프리랜서 세금 구조 정리

 

나는 왜 3.3% 세금 떼였을까? 일용직과 프리랜서 세금 구조 정리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용직이나 아르바이트로 일해보신 분들, 수당 받을 때 3.3% 떼고 주는 곳도 있고, 그냥 세금 없이 전액 주는 곳도 있는 거 보신 적 있으시죠?"어? 똑같이 알바했는데 왜 나는

newyouthkang.tistory.com

 

 

2026년 최저임금은 전년 대비 2.9%나 인상되며, 시급뿐만 아니라 월급, 연봉, 주휴수당 포함 급여까지 작년 대비 큰 폭의 상승을 보였어요. 이는 저임금 노동자의 생계를 조금 더 안정적으로 보장하는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지만, 동시에 영세 자영업자나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인건비 부담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다양한 시각에서 균형 있게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최저임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경제 상황과 고용 구조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번 인상이 여러분의 일상과 어떻게 연결될지 꼼꼼히 체크해 보시고, 필요하다면 실무에도 적극 반영해 보시기 바랍니다.

 

 

대표이미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