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금융소득
- 외화상품과세
- 6.27보도자료
- 조카호칭
- 조카며느리호칭
- 배당소득세
- 금융소득종합과세
- 지역가입자
- 친척호칭정리
- 가족호칭정리
- 가계부채관리강화
- 남편의조카
- 해외주식세금
- 프리랜서
- 2026년최저시급얼마
- 2026년최저임금
- 다주택자 대출제한
- 가족호칭
- 아내의조카
- 실업급여
- 결혼감사
- 조기재취업수당
- 조카의남편
- 최저임금 2차수정안
- 조카의아내
- 증권거래세
- 생애최초 주담대
- 결혼감사카톡
- 구직급여
- 달러etf세금
- Today
- Total
신청년의 자기계발 블로그
2026년 공휴일 완벽 정리: 대체공휴일 포함 연휴 캘린더와 근로일수 분석 본문
우리나라 휴일은 크게 법정공휴일이랑 법정휴일로 나뉘어요. 자녀 결혼식이나 해외여행처럼 중요한 계획을 세우려면 설날이나 추석 같은 연휴까지 포함해서 미리 체크해두는 게 좋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선 2026년에 쉴 수 있는 공휴일과 휴일을 미리 한 번 정리해봤어요.
✅ 법정 공휴일과 법정 휴일 개요
우리나라 휴일은 세 가지로 나뉘어요. 법정 공휴일, 법정 휴일, 그리고 약정 휴일이에요.
법정 공휴일에는 국경일, 공휴일, 대체공휴일이 포함되고요, 법정 휴일은 근로자의 날이랑 주휴일을 말해요. 약정 휴일은 보통 토요일을 말하는 거고요.
그리고 ‘대체공휴일’은 공휴일이 주말이랑 겹칠 때 다른 날로 하루 쉬게 해주는 제도예요. 설날이나 추석 연휴가 일요일이랑 겹치면 대체공휴일이 생기고요, 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같은 국경일이나 어린이날, 부처님 오신 날, 성탄절이 토요일이나 일요일과 겹칠 때도 적용돼요.

✅ 2026년 법정 공휴일과 법정 휴일
2026년엔 대체공휴일까지 포함해서 법정 공휴일이랑 근로자의 날을 합치면 총 20일을 쉴 수 있어요. 이 중에서 대체공휴일은 4일이고요, 삼일절, 부처님오신날, 광복절, 개천절이 주말이랑 겹쳐서 대체공휴일로 지정돼요. 2026년 설 연휴는 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월, 화, 수예요. 이게 주말이랑 붙어 있어서 토요일부터 수요일까지 총 5일을 쉴 수 있는 황금연휴가 됩니다.
전체 휴일 20일 중에서 주말이랑 겹치지 않는 날은 14일이에요. 나머지 6일은 주말이랑 겹치는데, 삼일절, 부처님오신날, 현충일, 광복절, 추석, 개천절이 여기에 해당돼요. 참고로 2025년엔 주말이랑 겹치지 않는 휴일이 16일이었는데, 2026년은 그보다 이틀 적은 거예요.
2026년 공휴일과 법정 휴일

✅ 2026년 근로일과 휴무일의 날짜 일수
2026년은 총 365일이에요. 이 중에서 토요일과 일요일은 총 103일이고, 휴일 20일 중에서 주말이랑 겹치지 않는 날은 14일이에요. 그래서 실제로 근로가 면제되는 날, 그러니까 쉴 수 있는 휴일이나 휴무일을 합치면 총 117일이 돼요. 2025년엔 이 숫자가 121일이었으니까, 2026년은 4일이 줄어든 셈이에요.
근로 가능 일수로 보면, 365일에서 쉬는 날 117일을 빼면 총 248일을 일을 해야한다는 계산이 나오고요. 2025년에는 243일이었으니까, 2026년엔 5일 더 일하게 되는 거죠. 이렇게 보면 근로자 입장에서는 조금 아쉬운 해고, 사업주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생산성을 높이기에 더 유리한 해가 될 수 있겠네요.

✅ 2026년 달력
아래는 2026년 한 해 달력이에요. 대체공휴일 4일은 따로 표시해뒀어요!

지금까지 2026년에 미리 알아두면 좋은 휴일과 휴무일 수, 근로일수를 정리해봤어요.
어떻게 쉬고, 그 시간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의 질이 달라지잖아요.
휴일을 잘 활용하는 게 결국 더 가치 있고 행복한 삶으로 이어지는 열쇠가 될 거예요.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