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금융소득종합과세
- 실업급여
- 결혼감사
- 건물 재산세 과표
- 배당소득세
- isa계좌
- 주휴수당
- 결혼감사카톡
- 재산세 과표
- 2025 주민세
- 토지세율
- 금융소득
- 주민세 사업소분 기준
- 종업원 주민세
- 가족호칭정리
- 재산과표 기준
- 토지 세율
- 지역화폐
- 2025년 제산세
- 이자소득
- 민생회복소비쿠폰
- 프리랜서
- 2025년 주민세
- 2025년 주민세 세율
- 2025년 주민세 사업소분
- 가족호칭
- 재산세 계산식
- 조기재취업수당
- 지역가입자
- 구직급여
- Today
- Total
목록2025/06/27 (3)
신청년의 자기계발 블로그

📌 2025년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뭐가 달라지나? 요즘 대출금리가 다소 하락세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뇌관 중 하나에요. 특히 2025년 들어 다시금 늘어나고 있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에 정부도 긴장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금융위원회에서는 6월 27일,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을 내놓았어요. 이번 방안의 주요 내용을 아래와 같아요. 집을 두 채 이상 가지고 있거나 기존에 집 한 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그 집을 팔지 않고 새 집을 사려고 하면, 아예 대출이 안돼요. (금지 100%)주택담보대출(주담대) 받을 수 있는 금액도 최대 6억 원까지만 가능해요. (예전보다 줄었죠…)앞으로는 주담대를 받으면서 집을 사면, 그 집으로 6개월 안에 전입해야 ..

2026년 최저임금 논의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어요. 최근에 최저임금위원회에서 1차 수정안을 내놨는데요, 최저임금은 우리 일상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최근 몇 년간의 최저임금 변화 흐름과 함께, 2026년 1차 수정안 내용을 정리해봤어요. 함께 살펴보시죠!✅ 최근 5년간 최저임금 흐름 최저임금은 해마다 조금씩 오르고 있어요. 최근 5년만 봐도 2020년에 8,590원이던 게 2025년에는 10,030원까지 올라서, 전체적으로 약 16.7% 정도 인상됐습니다. 아래 표랑 그래프를 보면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랑 인상률을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어요. 최근 5년간 최저임금 추이연도최저임금(원)인상률(%)20208,590 20218,7201.520229,1605..

요즘 원달러 환율이 빠르게 오르면서 환율 변동 폭도 점점 커지고 있어요. 그래서 달러를 가지고 있거나 외화에 투자한 분들 사이에서 ‘환차익 생기면 세금 내야 하나?’ 하는 궁금증이 많아졌는데요. 오늘은 이 환차익이 과세 대상인지, 또 어떤 경우에 세금이 붙는지에 대해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환차익이란? 어떻게 계산할까? 환율은 나라별 경제 상황—예를 들면 물가, 금리, 무역수지 같은 것들—에 따라 계속 바뀌죠. 이렇게 환율이 변하면 외화 자산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자산의 ‘원화 기준’ 가치도 같이 오르락내리락하게 돼요. 이때 생기는 손해는 ‘환차손’, 이익은 ‘환차익’이라고 부릅니다. 그럼 환차익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기본적으로는 살 때 환율과 팔 때 환율의 차이에 외화 수량을 곱하면 돼요.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