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2025/06/273

"6.27 긴급 발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총정리" (전세대출 규제, DSR규제, 생활안정자금 대출, 전입신고조건, 주택담보대출 한도 변경!) 📌 2025년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뭐가 달라지나? 요즘 대출금리가 다소 하락세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뇌관 중 하나에요. 특히 2025년 들어 다시금 늘어나고 있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에 정부도 긴장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금융위원회에서는 6월 27일,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을 내놓았어요. 이번 방안의 주요 내용을 아래와 같아요. 집을 두 채 이상 가지고 있거나 기존에 집 한 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그 집을 팔지 않고 새 집을 사려고 하면, 아예 대출이 안돼요. (금지 100%)주택담보대출(주담대) 받을 수 있는 금액도 최대 6억 원까지만 가능해요. (예전보다 줄었죠…)앞으로는 주담대를 받으면서 집을 사면, 그 집으로 6개월 안에 전입해야 .. 2025. 6. 27.
2026년 최저임금 11,460원 이라고? (최저임금 2차수정안 ,2025년·2026년 최저시급,주휴수당포함 최저시급, 월급, 연봉 총정리) 2026년 최저임금 논의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어요. 최근에 최저임금위원회에서 2차 수정안을 내놨는데요, 최저임금은 우리 일상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최근 몇 년간의 최저임금 변화 흐름과 함께, 2026년 2차 수정안 내용을 정리해봤어요. 함께 살펴보시죠!✅ 최근 5년간 최저임금 흐름 최저임금은 해마다 조금씩 오르고 있어요. 최근 5년만 봐도 2020년에 8,590원이던 게 2025년에는 10,030원까지 올라서, 전체적으로 약 16.7% 정도 인상됐습니다. 아래 표랑 그래프를 보면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랑 인상률을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어요. 최근 5년간 최저임금 추이연도최저임금(원)인상률(%)20208,590 20218,7201.520229,1605.. 2025. 6. 27.
외화 투자할 때 환차익, 세금 내야 할까? (달러예금, 환차익, 달러ETF, 해외펀드, 해외주식의 세금 포함) 요즘 원달러 환율이 빠르게 오르면서 환율 변동 폭도 점점 커지고 있어요. 그래서 달러를 가지고 있거나 외화에 투자한 분들 사이에서 ‘환차익 생기면 세금 내야 하나?’ 하는 궁금증이 많아졌는데요. 오늘은 이 환차익이 과세 대상인지, 또 어떤 경우에 세금이 붙는지에 대해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환차익이란? 어떻게 계산할까? 환율은 나라별 경제 상황—예를 들면 물가, 금리, 무역수지 같은 것들—에 따라 계속 바뀌죠. 이렇게 환율이 변하면 외화 자산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자산의 ‘원화 기준’ 가치도 같이 오르락내리락하게 돼요. 이때 생기는 손해는 ‘환차손’, 이익은 ‘환차익’이라고 부릅니다. 그럼 환차익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기본적으로는 살 때 환율과 팔 때 환율의 차이에 외화 수량을 곱하면 돼요. 예.. 2025. 6.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