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2025/06/202

큰아버지? 외삼촌? "아버지나 어머니의 형제자매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아버지의 형과 누나, 어머니의 오빠와 언니, 남동생과 여동생 호칭, 가족호칭) 명절이나 경조사 때 오랜만에 보는 친척 분들, 특히 아버지나 어머니의 형제자매분들 뵙게 되면... "어? 뭐라고 불러야 하지?" 하고 순간 당황한 적 한 번쯤 있으시죠? 평소엔 잘 만나지 않다 보니, 이런 가족 간 호칭들이 헷갈리기 쉬운데요. 이번 글에서는 부모님의 형제자매와 그 배우자분들을 어떻게 부르면 되는지, 쉽게 정리해봤어요!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2025.06.16 - [일상생활 Tip] - 형수? 제수씨? 새언니? 가족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형의 아내, 누나의 남편, 오빠의 아내, 언니의 남편, 남동생의 아내, 여동생의 신랑) 형수? 제수씨? 새언니?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형의 아내, 누나의 남편,형제자매가 결혼을 하면,.. 2025. 6. 20.
2025년 퇴직금/퇴직연금/퇴직소득세, 계산부터 절세 전략까지 총정리 (퇴직금 수령방법, 근속연수공제, 은퇴/퇴직준비) 2023년에 퇴직소득세 계산 방식이 한 번 개정된 이후, 2025년에도 큰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요. 은퇴할 때 퇴직금이랑 퇴직소득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제대로 알고 있는 게 정말 중요하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퇴직금과 퇴직소득세 내용을 한 번 정리해봤어요. ✅ 퇴직금, 퇴직소득세 개요 퇴직소득세는 다른 소득이랑 따로 계산돼서, 종합소득세처럼 합쳐서 신고할 필요는 없어요. 퇴직금 받을 때는 그냥 분리과세로 끝나죠. 그런데 주의할 점이 하나 있어요! 퇴직금을 받은 뒤, 그 돈을 굴려서 이자가 생기거나 연금 형태로 받게 되는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져요. 그때부터는 ‘연금소득’으로 분류돼서, 연간 1,500만 원을 넘는다면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해요. 이 .. 2025. 6.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