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정부가 발표한 2차 추경, 그 핵심 키워드는 단연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지역사랑상품권'이에요. 요즘 장 보러 가면 자주 듣게 되는 '지역화폐', 사실 이게 뭔지, 어디서 어떻게 쓰는 건지 헷갈리셨던 분들 많죠?
지역화폐는 단순한 할인쿠폰이 아니라, 우리 동네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을 살리는 지역경제 활성화 도구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부의 지원 방향과 함께 지역사랑상품권이 뭔지, 어떻게 사용하면 좋은지 간단하고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정부, 지역화폐 대폭 확대! 할인율 15% 상향 추진
올해 정부가 민생회복을 위해 지갑을 제대로 열었네요. 10.3조 규모의 소비쿠폰 지원과 함께, 지역사랑상품권 6,000억 원도 추가로 편성해서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했어요. 이걸 포함하면, 올해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는 무려 29조 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라고 해요. 정부는 지역경제 살리기에 집중하면서,
- 상품권 구매 한도
- 보유 한도
- 소비자 할인율까지 대폭 확대할 예정인데요, 기존 할인율 (10%→ 15%)
지역 전통시장이나 동네마트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에겐 더 큰 혜택이 돌아올 것 같죠?

✅ "지역사랑상품권", 지역화폐, 온누리상품권, 제로페이랑 뭐가 다른 걸까?
요즘 장 보러 가면 "지역화폐 쓰시면 할인됩니다!" 이런 문구 자주 보셨죠? 사실 지역화폐, 지역사랑상품권, 온누리상품권, 제로페이… 이름은 다양한데, 이게 도대체 다 뭐고 어떻게 다른지 헷갈릴 때가 많아요. 지금부터 하나씩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
한눈에 보기!
종류 | 발행주체 | 사용처 | 특징 |
지역화폐 | 지자체 | 지역 내 소상공인 | 골목상권 중심, 할인가능 |
지역사랑상품권 | 지자체 | 지역 가맹점 | 지역화폐의 대표상품, 선불카드형 |
온누리상품권 | 정부 | 전국 전통시장 | 지역제한 없음, 시장전용 |
제로페이 | 정부·지자체 | QR 결제 가맹점 | 상품권 구매·결제용 플랫폼 |
✔️ 지역화폐란?
지역화폐는 말 그대로 특정 지역에서만 쓸 수 있는 돈이에요. 주로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처럼 소상공인 가게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졌고, 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에서는 거의 안 받아요. 종이로 된 지류형, 카드처럼 충전해서 쓰는 카드형, QR코드로 결제하는 모바일형까지 종류가 다양해요. 지역 주민이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말 그대로 지역경제 활성화용 화폐죠!
✔️ 지역사랑상품권이란?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역화폐의 한 종류예요. 각 지자체(시장이나 군수 등)가 발행하고, 그 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선불카드예요. 10%까지 할인해서 구매할 수 있고, 보유·구매 한도도 정해져 있어요. 쉽게 말하면, 우리 동네에서만 통용되는 할인 선불카드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요즘은 앱으로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도 많이 써요!
✔️ 온누리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은 조금 다른 목적이에요.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직접 발행한 상품권이에요. 지역사랑상품권과 비슷해 보이지만,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고, 오직 전통시장이나 상점가에서만 쓸 수 있다는 점이 달라요. 할인율도 5~10% 정도로 비슷하지만, 사용처가 더 좁은 대신 지역 제한은 없다는 게 포인트예요.
✔️ 제로페이란?
제로페이는 지역화폐랑은 결제 방식이 달라요. 서울시와 중기부가 만든 시스템인데, QR코드로 결제해서 카드 수수료 없이 바로 이체되는 구조예요. 이 제로페이 앱 안에서 온누리상품권이나 지역사랑상품권을 할인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요즘엔 제로페이 = 지역화폐 전용 앱처럼 쓰이기도 해요.
✅ 지역사랑상품권의 구매방법
✔️ 모바일형 지역사랑상품권 구매방법
요즘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이에요. 휴대폰 앱으로 간편하게 구매하고, 결제도 바로 할 수 있어요.
🔶 구매 가능한 앱
- 지역상품권 chak (착)
- 제로페이
- 비플제로페이, 핀트, 신한pLay, KB페이, NH콕뱅크 등
🔶 구매 방법
- 앱 설치 후 회원가입
- 지역 선택 → 상품권 구매
- 본인 계좌 연결 후 충전 (일반적으로 10% 할인 적용)
- 가맹점에서 QR결제 또는 바코드 결제
👉 구매한 상품권은 해당 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해요!
✔️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구매방법
일부 지자체에서는 카드형 상품권도 발급해줘요. 체크카드처럼 충전해서 쓰는 방식이라 익숙하신 분들께 편리해요.
🔶 신청 방법
- 해당 지자체 또는 제휴 금융기관 홈페이지에서 신청
- 실물 카드 수령 후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충전
- 일반 체크카드처럼 사용 가능 (단, 지역 가맹점 한정)
🔶 발급 가능한 주요 카드사
- 농협, 하나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등 (지자체별 상이)
✔️ 지류(종이형) 지역사랑상품권 구매방법
아직도 종이로 된 상품권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이건 오프라인 판매처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어요.
🔶 구매처 예시
- 지역 내 농협, 새마을금고, 신협 등 지정 금융기관
- 지자체 민원실 또는 지역 상품권 판매소
🔶 주의사항
- 신분증 지참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
- 할인율 적용은 동일하게 받지만 현금영수증 요청 필수 (소득공제용)
✅ 지역사랑상품권의 구매한도와 보유한도
현재 기준으로는 1인당 월 구매한도는 70만 원, 보유한도는 최대 150만 원까지예요. 이 한도는 지자체 자율로 정해지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어요.
그런데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발표되면서, 정부가 구매한도와 보유한도를 더 넉넉하게 풀 계획이라고 합니다. 월 최대 200만 원까지 구매 가능하도록 조정 검토 중이고, 사용처도 기존 전통시장, 동네상점뿐 아니라 농협 하나로마트 같은 대형마트 일부까지 확대된다고 해요. 이제는 더 많이 사고, 더 편하게 쓸 수 있는 지역사랑상품권 시대가 오는 거죠!
지역사랑상품권의 현재와 변경안
현재 | 변경안 | |
구매한도 | 월 70만원 | 월 200만원 |
보유한도 | 150만원 | 200만원 |
사용처 | 전통시장, 동네상점 | 농협 하나로마트 등의 대형마트 일부까지 확대 |
✅ 지역화폐, 지역사랑상품권도 소득공제 되나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죠! 지역사랑상품권이나 온누리상품권을 쓰면 연말정산에서 소득공제 받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공제 여부가 달라져요.
✔️ 카드형 상품권은 직불카드처럼 소득공제돼요!
- 지역사랑상품권이나 지역화폐를 카드형(충전식)으로 사용하면 직불카드 사용액처럼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가 자동 반영돼요.
- 기본적으로 사용금액의 30%, 전통시장에서 사용하면 40%까지 공제돼요!
- 다만 카드 발급 시 ‘소득공제 신청’ 여부를 꼭 체크해야 자동 반영된다는 점, 잊지 마세. (단, 체크카드로 발급받았다면 별도 신청 없이도 자동 공제돼요)
✔️ 종이(지류형) 상품권은 현금영수증이 필수!
- 종이 형태의 지역사랑상품권이나 지역화폐를 쓰셨다면 현금영수증을 꼭 발급받아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 이 경우도 사용금액의 30%까지 소득공제 가능하고, 연말정산에서 현금영수증 사용분으로 처리됩니다.
✔️ 한도는 최대 600만원까지!
- 신용카드·체크카드·현금영수증 등 모든 사용분을 합산해서 기본 300만 원 + 추가 300만 원 = 최대 600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지역화폐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지역화폐 종류 | 결제수당 | 소득공제율 |
지역사랑 상품권 | 직불카드 or 현금영수증 | 사용금액의 30% |
온누리상품권 | ||
지역화폐 | ||
제로페이 | 직불카드 |
민생회복소비쿠폰에 대해서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
2025.06.22 - [일상생활 Tip] - 이재명 정부 소비쿠폰 금일 국회 통과예정! 전국민대상 15만~50만 원 지원금 총정리 (지급 시기·사용처 포함, 민생회복소비쿠폰)
이재명 정부 소비쿠폰 금일 국회 통과예정! 전국민대상 15만~50만 원 지원금 총정리 (지급 시기·
이재명 정부가 약속했던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지원금, 이제 정말로 윤곽이 잡혔어요. 행정안전부에서는 관련 예산안을 마련해서 6월 19일 국무회의를 통과시켰고, 6월 23일에는 국회에 제출할
newyouthkang.tistory.com
지금까지 이 정부의 민생회복 조치에 따라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가 역대 최대라는 소식과 함께, 지역화폐, 온누리상품권, 제로페이까지 관련 내용을 쭉 정리해봤습니다.
구매한도, 사용처, 소득공제까지 하나씩 살펴보니 생각보다 혜택이 많고, 똑똑하게 쓰면 가계 부담도 줄이고 지역경제도 살릴 수 있는 착한 소비라는 생각이 드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