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실업급여
- 이자소득
- 서울시 주거복지 정책
- 서울시 융자추천서 신청
- 2025 산재보험
- isa 수익과세
- isa 건보료반영
- 해외주식세금
- 가족호칭
- 융자추천서 발급절차
-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
- 고배당주 isa
- 가족호칭정리
- 결혼감사카톡
- 신혼부부 전세자금 이자지원
- 신혼부부 전세계약
- 산재보험 예외사항
- 금융소득종합과세
- 증권거래세
- 결혼감사
- 예비신혼부부 전세준비
- 조기재취업수당
- 지역가입자
- 배당소득세
- 프리랜서
- isa해외펀드
- isa계좌
- 투자중개형isa
- 구직급여
- 금융소득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부조금봉투쓰는법 (1)
신청년의 자기계발 블로그

결혼식에 갈 때 축의금을 준비하잖아요? 그럴 때 봉투를 어떻게 써야 할지 고민될 때가 있어요. 특히 신랑 측인지, 신부 측인지에 따라 봉투 쓰는 방식도 조금 다르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결혼식장에서 헷갈리지 않게 축의금(부조금) 봉투 쓰는 방법을 한눈에 정리해봤어요! 😊 ✅ 축의금 봉투의 축의 문구축의금 봉투 앞면에는 보통 결혼을 축하하는 의미의 문구가 들어가요. 결혼식장에 가보면 이미 축의금 봉투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그 앞면에 축의 문구가 인쇄되어 있어서 따로 쓸 필요는 거의 없어요. 참고로 ‘축의금’을 ‘부조금’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자주 쓰이는 축의 문구로는 “축 혼인, 축 결혼, 축 화혼, 축 성혼, 축 성전, 축의, 하의, 경축” 같은 게 있어요. 이 중에서 제일 무난한 건 ‘祝 婚..
일상생활 Tip
2025. 5. 24. 0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