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 미만 사업장, 어떤 근로기준법이 적용될까? 핵심 정리! (5인 미만 사업장의 최저임금, 주휴수당, 퇴직급여제도, 법정공휴일, 주 52시간, 연장근로·야간근로·휴일근로 가산수당, 연차휴가 및 수당)
현행 근로기준법에서는 이런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사업주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근로시간이나 연차휴가 같은 주요 규정을 아예 적용하지 않고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사장님도, 직원도 꼭 알아둬야 할 5인 미만 사업장 근로 규정들을 한눈에 정리해봤습니다! ✅ 상시 근로자 수는 어떻게 계산할까? 근로기준법은 상시 근로자 수가 5명 이상이냐 아니냐에 따라 적용되는 규정이 달라져요. 그래서 사업주 입장에서는 우리 사업장이상시 몇 명이나 근무하는지를 제대로 아는 게 중요하죠. 기본적으로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는 한 달 동안 출근한 전체 근로자 수를 그 달의 근무일수로 나눠서 계산해요. 예를 들어, 2023년 10월 기준으로 보면, 10월 1일부터 31일까지 출근한 인원 수를 다 더한 다음, 10월 근무일수인..
2025.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