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큰아버지? 외삼촌? "아버지나 어머니의 형제자매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아버지의 형과 누나, 어머니의 오빠와 언니, 남동생과 여동생 호칭, 가족호칭)

New Youth Kang 2025. 6. 20. 20:38
728x90

명절이나 경조사 때 오랜만에 보는 친척 분들, 특히 아버지나 어머니의 형제자매분들 뵙게 되면... "어? 뭐라고 불러야 하지?" 하고 순간 당황한 적 한 번쯤 있으시죠?

 

평소엔 잘 만나지 않다 보니, 이런 가족 간 호칭들이 헷갈리기 쉬운데요. 이번 글에서는 부모님의 형제자매와 그 배우자분들을 어떻게 부르면 되는지, 쉽게 정리해봤어요!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2025.06.16 - [일상생활 Tip] - 형수? 제수씨? 새언니? 가족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형의 아내, 누나의 남편, 오빠의 아내, 언니의 남편, 남동생의 아내, 여동생의 신랑)

 

형수? 제수씨? 새언니?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 한번에 정리해드려요 (형의 아내, 누나의 남편,

형제자매가 결혼을 하면, 그 배우자도 이제 우리 가족이잖아요. 가족이란 게 서로 잘 어울리고 조화롭게 지내는 게 제일 중요한데, 그 시작은 서로를 부르는 ‘호칭’부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newyouthkang.tistory.com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와 그 배우자 호칭

 

아버지의 형은 큰아버지, 형수님은 큰어머니라고 불러요. 아버지의 남동생은 보통 작은아버지라고 부르지만, 그냥 삼촌이라고 하는 경우도 많고요. 그의 아내는 작은어머니 또는 숙모라고 부르면 됩니다. 그리고 아버지의 누나나 여동생은 모두 고모라고 하고, 고모의 남편은 고모부라고 부르면 돼요!

 

반응형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은 외삼촌이라고 부르고, 이렇게 지칭할 때도 그냥 외삼촌이라고 하면 돼요. 그분들의 아내는 외숙모라고 하거나, 편하게 아주머니라고 부르기도 해요. 엄마의 언니나 여동생은 모두 이모라고 부르고요, 이모의 남편은 이모부라고 하면 됩니다!

 

 

아버지 형제와 그 배우자의 호칭과 지칭

 

아버지의 형은 부를 때도 큰아버지,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도 그냥 큰아버지라고 하면 돼요. 자녀 입장에서는 큰할아버지라고 부르면 무난하고요. 큰아버지의 아내는 큰어머니라고 부르고, 자녀한테는 큰할머니라고 하면 자연스럽습니다!

 

아버지의 남동생은 작은아버지삼촌이라고 부르면 되고,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도 그렇게 지칭하면 돼요. 자녀 입장에서는 작은할아버지라고 부르면 됩니다. 그 아내는 작은어머니숙모라고 부르고, 자녀한테는 작은할머니라고 해요.

 

 

아버지의 누나나 여동생은 고모라고 부르고,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도 그냥 고모라고 하면 돼요. 자녀 입장에서는 고모할머니라고 부르면 됩니다. 그리고 고모의 남편은 고모부라고 하고, 자녀한테는 고모할아버지라고 하면 돼요.

 

 

어머니의 형제자매와 그 배우자의 지칭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은 외삼촌이라고 부르고,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도 외삼촌이라고 하면 돼요. 자녀에게는 아버지 외삼촌이라고 설명하면 무난해요. 그리고 외삼촌의 아내는 외숙모라고 부르고, 자녀 입장에서는 아버지 외숙모라고 해주면 자연스럽습니다.

 

 

 

어머니의 언니나 여동생은 모두 이모라고 부르고, 다른 사람한테 말할 때도 그냥 이모라고 하면 돼요. 자녀한테는 이모할머니라고 부르면 됩니다. 그리고 이모의 남편은 이모부라고 부르고, 자녀에게는 이모할아버지라고 하면 자연스러워요.

 

 

지금까지 아버지랑 어머니 쪽 형제자매, 누이 분들에 대한 호칭과 지칭을 한 번에 정리해봤어요. 헷갈리기 쉬운 부분인데, 이번 기회에 깔끔하게 정리해두면 명절이나 모임 때 훨씬 편하실 거예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