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매거진

[제 1호]세계 경제 흔든 미국 신용등급 강등… 한국은 안전할까? (국가신용등급 비교 총정리)

New Youth Kang 2025. 5. 25. 09:48
728x90

미국이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됐다는 소식이 전 세계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어요. 반면, 한국은 계엄령 선포나 대선 정국 같은 큰 이슈 속에서도 신용등급을 잘 유지하고 있죠.

 

이쯤에서 세계 3대 신용평가사가 발표하는 '국가신용등급'이 뭔지, 어떤 기준으로 평가되는 건지 정리해봤어요. 블로그 포스팅으로 한눈에 알아보세요!

 

미국, 국가신용등급 또 강등!

 

5월 16일,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Moody’s)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낮췄어요. 기존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1’로 떨어진 건데요, 이로써 미국은 2011년 S&P, 2023년 피치(Fitch)에 이어 무디스까지… 세계 3대 신용평가사 모두에게 최고등급을 잃은 셈이에요.

 

그나마 다행인 건 무디스가 등급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바꿨다는 점인데요, 그래도 등급 강등의 이유는 분명했어요. 바로 재정 적자와 부채 급증 때문이죠.

 

현재 미국의 국가 부채는 무려 36조 2,2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5경 726조 원에 달합니다.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해도 부채 비율이 123%나 된다고 하니까, 경제 규모보다 부채가 더 많다는 얘기예요.

 

✅ 한국은 신용등급 ‘굳건’하게 유지 중!

 

반면, 한국은 어떤 상황일까요?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는 올해 4월 16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 안정적’으로 그대로 유지한다고 발표했어요. 또한 앞으로 35년 동안은 적정 수준에서 관리될 거라고 평가했어요.

 

현재 한국은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사 모두로부터 좋은 평가를 유지하고 있어요.

  • 무디스(Moody's) : Aa2 (안정적)
  • 피치(Fitch) : AA- (안정적)
  • S&P : AA (안정적)

정치·경제적으로 큰 변수가 있는 상황에서도, 신용등급이 흔들리지 않는 건 꽤 의미 있는 신호라고 볼 수 있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세계 3대 평가사 기준으로 상위권에 위치해 있어요.

 

참고로, 미국은 이들 평가사 모두에서 최고등급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어요. 즉, 한국과 미국은 현재 거의 같은 등급권에 있다고 볼 수 있죠.

 

아래는 주요국들의 국가신용등급 현황이에요. 한눈에 비교해보세요👇

 

반응형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의 주요내용 

 

국가 신용등급이 뭐냐고요? 쉽게 말해서, 한 나라가 돈을 얼마나 잘 갚을 수 있는지, 즉 채무 이행 능력을 등급으로 나타낸 것이에요.

 

이 등급은 단순히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에요. 국제 금융시장에서 투자할지 말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국채 발행 시 금리해당 국가의 자금 조달 조건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뿐만 아니라, 이 국가 신용등급은 해당 국가의 은행, 기업, 심지어 공기업들의 신용평가에도 기준이 되는 핵심 지표랍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높다면, 한국 기업이 해외에서 돈을 빌릴 때 신뢰도도 함께 올라가는 효과가 생기는 거죠.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신용평가사 3곳, 흔히 말하는 ‘Big 3’는 바로 무디스(Moody’s),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 피치(Fitch)입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S&P와 무디스가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독보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어요.
말 그대로 신용평가 시장을 이 세 곳이 다 잡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이들은 평소에 전 세계 국가, 금융회사, 일반 기업의 장·단기 신용등급을 평가해서 관리하고 있다가,
상황이 바뀔 때마다 신용등급을 다시 조정해 발표하곤 해요.

 

하지만 신용평가사마다 같은 나라나 기업을 평가해도 결과가 똑같지는 않다는 점이에요. 왜냐하면 평가 기준이나 방식이 공개되지 않은 비밀이거든요. 매년 각 나라를 직접 방문해 현장조사도 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해 분석한 뒤에야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고 해요. 이렇게 해서 발표된 국가 신용등급은 국제 사회에서 그 나라의 경제 신뢰도와 투자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의 평가 등급은 무디스 21등급, S&P 21등급, 피치 24등급으의 체계를 유지하고 있어요.

3대 신용평가사 평가체계

 

🏛️ 무디스(Moody’s)란?

 

무디스는 1900년, 미국의 출판업자이자 증권분석가인 존 무디(John Moody)가 만든 회사예요. 처음엔 정부, 공공기관, 산업 동향, 주식시장 정보를 모은 통계서적을 출간하는 걸로 시작했죠. 그러다 190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200여 개 철도 채권에 대한 신용등급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신용평가사로 도약하게 됩니다.

 

특히 무디스가 주목받게 된 계기는 바로 1929년 미국 대공황 당시였어요. 당시 수많은 기업이 파산했지만, 무디스가 ‘우량 기업’이라고 평가했던 곳들은 대부분 살아남았고, 이때부터 “무디스가 믿을 만하다”는 평판을 얻게 됐어요.

 

지금은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신용평가사 중 하나로,국가부터 기업, 금융기관까지 폭넓은 평가를 진행하고 있어요.

 

📊 S&P(Standard & Poor’s)란?

 

S&P는 1860년 미국에서 설립된,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에서도 가장 역사가 오래된 곳이에요. 창업자는 헨리 바넘 푸어(Henry Varnum Poor)로, 아들 헨리 윌리엄 푸어와 함께 회사를 세웠죠.

 

원래는 회사채 신용평가를 하던 ‘스탠더드스태티스틱(Standard Statistics)’과 ‘푸어스(Poor's)’라는 두 회사였는데, 이 두 곳이 1941년에 합병되면서 지금의 S&P라는 이름이 만들어졌어요.

 

S&P는 국가나 기업의 신용등급 평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투자 정보와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는 회사로도 잘 알려져 있어요. 특히 주식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익숙할 S&P500 지수도 바로 이 회사에서 만든 거랍니다. 전 세계 증시 뉴스에서 매일 등장하는 이유가 있죠!

 

🧾 피치(Fitch Ratings)란?

 

피치는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가장 나중에 설립된 곳이에요. 1913년에 설립된 후발주자지만, 지금은 무디스, S&P와 함께 ‘빅3’로 불릴 만큼 자리잡은 신용평가사죠. 본사는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 두 군데에 있어요. 피치는 1975년, 3대 신용평가사 중에서 가장 먼저 미국에서 공식 인증을 받은 공인 신용평가기관이기도 해요. 이 점에서 업계 내에서도 상징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죠.

 

다만 시장 점유율 면에서는 무디스나 S&P보다는 조금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아요. 또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피치는 다른 평가사들보다 상대적으로 점수를 후하게 주는 편이라는 이야기도 있어요. 그래서 때론 "좀 더 관대한 평가사"라는 이미지도 있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아래 글들도 같이 확인해보세요!

 

2025.06.16 - [경제 매거진] - [제 2호]“왜 지금 ‘배당분리과세’가 주목받나? 코스피5000 시대의 핵심 정책” (배당소득관련 세금제도 총정리 포함)

 

[제 2호]“왜 지금 ‘배당분리과세’가 주목받나? 코스피5000 시대의 핵심 정책” (배당소득관련

이 대통령은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겠다는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배당소득 분리과세 법안 개정을 확실하게 강조했어요. 개미 투자자 입장에서도 그렇고, 국내 금융시장 흐름을 보면 정말 핵심을

newyouthkang.tistory.com

 

 

2025.06.19 - [경제 매거진] - [제 3호] "국채금리와 주식시장, 서로 무슨 사이일까?" (2025.06.18 미국 기준금리 4.5% 동결!,장단기금리차,주식투자)

 

[제 3호] "국채금리와 주식시장, 서로 무슨 사이일까?" (2025.06.18 미국 기준금리 4.5% 동결!,장단기금

주식시장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요즘 뉴스에서 '국채금리 상승'이란 말을 자주 들어봤을 거예요. 그런데 국채금리가 오르면 왜 증시가 출렁이는 걸까요? 오늘은 이 둘의 관계를 쉽게 풀어볼게

newyouthkang.tistory.com

 

 

지금까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 소식과 함께, 한국의 신용등급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비교해가며 살펴봤어요. 세계 경제 흐름 속에서 한국의 신용도가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